신문 소개 기사들
제목 : <북리뷰>상상은 미래를 부른다
◆최성우 지음/사이언스북스 펴냄
‘미래는 상상이 가져온 결과물?’
미래는 어떻게 오는가. 미래는 현실의 진화이자 동시에 상상이 빚어낸 창
조물이기도 하다. 68년 스탠리 큐브릭 감독은 아서 클라크의 SF소설 2001
년 스페이스 오디세이를 영화로 만들어 당시 미래였던 2001년 우주의 모습
을 그려보았다. 당시 까마득하게 보였던 2001년은 이미 우리에게 과거로 남
아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33년전에 상상했던 2001년의 모습은 우리가 겪은 ‘과거
2001년’과 흡사하다. 영상전화는 상용화 단계에 와있고 음성인식 확인장치
는 이미 사용되고 있다. 국제 우주정거장은 연구용으로 수년전부터 운영되
고 있으며 머지 않아 민간인을 위한 우주호텔로 건설될 것이다. 물론 영화
속 우주인들은 여전히 필름 카메라를 쓰고 펜과 종이를 사용하는 등 디지털
카메라나 PC, 인터넷의 존재는 모르는 듯하다.
이는 미래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도식적으로 변화한다기보다는 인간의 상
상력에 의해 바뀔 수도 있다는 하나의 암시이기도 하다. 특히 19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선보인 많은 SF소설과 영화들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맞물리면서
꿈을 점차 현실로 만들어가고 있음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사이언스북스가 펴낸 ‘상상은 미래를 부른다’는 상상력은 과학기술을
움직이는 원동력이며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 역시 과거에 어느 정도
상상된 세계라는 점에 주목한다. 과학 저널리스트인 저자 최성우는 그의
전작 ‘과학사 X파일’에 이어 다시 한번 일반인을 위해 재미있는 과학 이
야기를 풀어놓고 있다.
이 책은 SF속의 과학적 상상에서 출발해 우리가 살고 있는 첨단 과학의
세계를 둘러보고 앞으로 펼쳐질 미래 사회의 모습까지 조망하는 역할을 충
분히 해낸다.
총 4부 가운데 1부 ‘상상은 미래를 부른다’는 먼저 여러 SF소설이나
영화속에 비친 과학의 모습들을 소개한다. 여기에서는 인간의 상상력이 과
학기술의 여러분야에 걸쳐 어떻게 현실화되어 왔는지를 흥미있게 돌아보고
있다. 쥘 베른의 소설 ‘지구에서 달까지’(1865)는 20세기 중반에야 가능했
던 아폴로 우주선의 달 여행을 너무도 흡사하게 그렸다. 영화로 제작된 마
이클 크라이튼의 소설 ‘쥐라기 공원’(1990)은 호박 속에 든 모기의 화석
으로부터 중생대 공룡의 DNA를 추출해 복제한다는 기막힌 착상으로 고생
물학, 지구과학 연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2부와 3부는 현실로 눈을 돌려 본격적으로 첨단 과학기술과 미래 사회 모
습을 분야별로 상세히 살펴본다. IMT2000으로 상징되는 차세대 이동통신과
인터넷, 세상을 바꿀 나노기술,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비롯한 생명공학, 노
화를 막는 기술과 첨단산업의 미생물 이용법 등과 같은 미시적인 과학기술
분야는 물론 물리학과 화학, 교통, 기상, 우주, 해양 등을 포함한 거시적인
과학기술 분야까지도 다루고 있다.
마지막 4부 ‘과학은 어디로 가는가’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
사, 법률 등 과학 외적인 여러 요소와 과학기술의 관계를 살핀다. 인터넷 시
대의 지적 재산권이나 이동통신의 차세대 표준 같은 과학기술 현안과 벤처
기업의 위기, 과학 행정의 문제점, 이공계 기피 현상 등 사회·문화적인 부
문까지 꼼꼼히 짚고 있다.
<조인혜기자 ihcho@etnews.co.kr>
발 행 일 : 2002/07/20
출처 : 전자신문
----------------------------------------------------------------------
제목 : ‘상상의 힘’과학이야기
프랑스의 소설가 쥘 베른은 1865년 공상과학소설 ‘지구에서 달까지’를
썼다. 100여년 뒤, 1969년 7월21일 오전 우주선 아폴로11호는 미국인 우주
비행사를 달의 ‘고요의 바다’에 내려놓았다.
로봇 소설의 아버지 아이작 아시모프, ‘쥐라기 공원’을 쓴 마이클 크
라이튼, ‘무선 세계’를 쓴 아서 클라크. 그들은 상상을 했다. 상상은 과
거를 향하지 않는다. 상상은 늘 미래를 지향한다. 물론 그들의 상상이 모두
실현된 것은 아니다. 아직 상상에 그치고 있는 것도 있고, 현실화가 진행중
인 것도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상상은 미래를 만든다’는 것이다.
자연 현상을 인간의 세상으로 옮겨오는 것도 상상의 힘에서 나온다. ‘
찍찍이’로 불리는 벨크로(Velcro=벨벳〈Velvet〉과 코바늘 뜨개질〈Croche
t〉의 합성어)는 옷에 달라붙는 국화과 한 해살이 풀 도꼬마리에서 영감을
얻어냈다. 거미줄은 아주 가볍고 탄력성이 뛰어나며 같은 두께의 강철보다
더 강하다. 더군다나 인공물질이 아니어서 생분해돼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렇다면 거미줄로 섬유를 짜고, 비닐봉지 대신 거미줄 봉지를 사
용하고, 현수교를 붙들어 맬 강철로프를 거미줄로 만들면 되지 않을까? 그
런데 그 많은 거미줄은 어디서 나나. 캐나다의 한 생명공학회사는 거미의
유전자를 염소의 젖에 이식시켜 젖과 함께 거미줄을 나오게 하는 데 성공했
다. ‘과학사 X파일’을 쓴 저자는 책에서 “과학은 상상을 먹고 산다”고
말한다. 이 책은 ‘과학책’이 아니라 ‘과학 이야기’ 책이다. 쉽다. 첨단
과학의 세계를 SF소설과 영화 등을 예로 들어가며 하나하나 설명한다. 영화
‘로보캅’과 휴먼로봇 이야기도 그렇고, ‘쥬라기공원’과 생명공학 이야
기도 그렇다.
“셰익스피어가 누구이며 그의 작품을 아느냐”고 물었다. 모른다고 하
면 무식한 사람 취급을 받는다. 그러나 “뉴턴의 운동법칙은 어떻게 나타내
며 무엇을 의미하는가”라고 물었다. 되레 물어본 사람이 ‘그렇게 골치아
픈 걸 왜 물어’라고 면박을 당한다. 물리학을 전공한 과학평론가인 저자가
‘과학이 잊혀져가는 우리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썼다. 1만원.
/윤성노기자 ysn04@kyunghyang.com/
[문화일보]
------------------------------------------------------------------------------------------------------------------------------
첨단과학이 가져올 미래는…
과학평론가인 저자가 소설, 영화 속의 상상력이 어떻게 실제 과학으로 구현됐고 첨단과학이 미래사회를 어떻게 바꿀지를 전망했다. 쥘 베른의 소설『지구에서 달까지』(1865)가 20세기 중반 아폴로 우주선의 달 여행을 흡사하게 그린 것, 모기 화석에서 중생대 공룡의 DNA를 추출해 복제한다는 영화 '쥬라기 공원'의 기발한 착상이 고생물학 등에 미친 영향 등을 소개한다. 차세대 이동통신과 인터넷, 생명공학, 나노 기술이 가져올 인류의 미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법률 등 과학 외적 요소가 과학기술에 미치는 영향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 한국일보 책과세상 02/07/20
------------------------------------------------------------------------------------------------------------------------------
[신간]'과학평론가가 본 '미래사회'
최성우씨 '상상은 미래를 부른다 ' 발간
과학평론가가 미래사회를 그려보는 책자를 펴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과학평론가 최성우씨는 '상상은 미래를 부른다-SF와 첨단과학이 만드는 미래사회'라는 책을 발간했다.
이 책은 최씨가 지난 3년전 '과학사 X파일'을 발간한 뒤 최근 3년동안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등 여러 신문과 잡지에 연재했던 과학칼럼을 대폭 수정·보완한 것이다.
과거 SF소설과 영화속 상상들이 실제 현실화된 현대과학의 세계를 조명하고 지금의 상상력이 앞으로 어떻게 미래사회를 변모시킬지에 대한 과학 트렌드를 엮은 책이다.
'미래사회는 인간의 상상력에 의해 변한다'가 이 책의 주요 테마다.
사이언스북스가 발행한 이 책은 SF소설과 영화를 소재로 과학과 미래를 알기 쉽게 설명한데 이어 세부 과학기술분야의 구체적인 논의, 그리고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비평적인 입장에서 상세히 기술해 놓았다.
특히 이 책은 대덕밸리 벤처인들과 연구인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과학행정의 문제점을 비롯 벤처기업의 위기, 과학의 대중화 문제, 청소년 이공계 기피현상 등 대덕밸리 현안(懸案)들의 분석과 해결책을 심도있게 다뤘기 때문이다.
저자 최성우씨는 "책을 읽고 과학기술자, 기업인, 공직자, 정치인, 교육자 등 여러분야 사람들이 과학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것"이라며 "이 책이 지금의 과학기술계 위기상황을 뚫는 새로운 돌파구가 되는데 작은 디딤돌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씨는 서울대 물리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LG전자 멀티미디어 연구소, 디스플레이 연구소 선임연구원 출신이며 현재 서울 엔엠시스템즈 연구소장과 과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총 2백96쪽 분량에 가격은 1만원.
<대덕넷 김요셉기자>josemy@hellodd.com
입력일:200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