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목 : [21세기를여는열쇠] 뿌리 깊은 '과학기술자 홀대' 근본해결 못하면...
뉴스제공시각 : 2002/03/06 19:30
출처 : 한겨레신문
-----------------------------------------------------------------------------
뿌리 깊은 '과학기술자 홀대' 근본해결 못하면 미래 없다
청소년의 이공계 기피 현상을 두고 신문사의 인터넷 토론마당들이 뜨겁게
달궈지는 등 오랜만에 이공계인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드디어 `올 것이 왔다'라고 느끼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어떤 사람은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저명 이공계 대학의 우등권은 상당수가
동양 출신 학생들이 차지할 정도로 본국 학생들의 이공계 기피가 심한 것으로
미뤄 거의 범세계적 현상이니 어쩔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세계 각지에서 최고급 인재를 끌어다 쓸 수 있는 미국과 우리나라는
그 상황이 판이하게 다를 수밖에 없다. 더구나 1960~70년대 저임금 생산직
노동자에 이어 80~90년대 이후 이 나라를 이만큼 지탱해온 것은 바로 반도체·
자동차·전기전자·화학 등 각 분야에서 고군분투해온 과학기술자 집단이
아니었던가?
`부자 되세요' 신드롬으로 상징되는 요즘의 실리추구형 세태에서, 과학기술
입국의 주역을 자부해온 과학기술자들에 대한 상대적으로 낮은 대우가 이공계
기피 현상이 불거져나온 주요 계기가 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에 못지 않게
여전히 과학기술자를 과거의 천한 `중인집단' 정도로나 여기는 위정자들과 사회
전반의 인식이 그다지 바뀌지 못한 것도 큰 이유일 것이다.
기술고시 출신의 고위직 공무원은 위로 갈수록 보기 힘들어지고, 꽤 많은 정부
각료들 가운데 이공계 출신은 과학기술부 장관, 정보통신부 장관 등 극히 일부에
불과한 것도 그 반증이 아닌가? 과학기술자 출신 국회의원 역시 가뭄에 콩 나듯
하는 존재인 것은 마찬가지다.
어느 분야이건 마찬가지이겠지만 올바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해결책을 세워
나아가야 할 책임은 상당 부분 정치인과 위정자들의 몫이기도 하다. 그러나
불행히도 말로만 과학기술 입국을 떠들면서 과학기술자들을 홀대해온 것은 과거
독재정권 치하에서도, 문민정부에서도, 심지어 현 정권에서도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이제 과학기술자뿐 아니라 정치인·행정가·교육자·기업인 등 사회 각계각층이
머리를 맞대어 일시적 미봉책이 아닌 근본 해결책을 내놓고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의 인식을 획기적으로 전환시키지 않는다면, 이 나라의 장래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최성우/과학평론가
'한겨레신문 (21세기를 여는 열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짜 벤처'를 살리려면? (0) | 2011.03.03 |
---|---|
우리나라 연구원의 '정년'은? (0) | 2011.03.03 |
군사과학기술의 빛과 그림자 (0) | 2011.03.03 |
SF를 읽으면 미래가 보인다 (0) | 2011.03.03 |
기술표준의 정치경제학 (0) | 2011.03.03 |